반도체가 경제를 이끈다

사슬이 없는 모노머 (단량체)

엘리트아이콘 2023. 1. 17. 16:55
728x90
반응형

 

 

 

 

 

 

합성 단량체

https://yoda.wiki/wiki/Monomer

 

단량체 - 요다위키

다른 단량체와 반응하여 중합체를 형성하는 분자 화학에서 단량체(/MON---m;r; mono-, "one" + -mer, "part")는 [1][2][3]중합이라고 불리는 과정에서 더 큰 고분자 사슬 또는 3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yoda.wiki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20537&cid=50314&categoryId=50314 

 

단위체

단위체식품과학기술대사전 합성수지의 원료화학물질이다. 특히 비닐중합형 수지인 PE, PP, PST, PVC 등의 경우에 사용된다. 일반화학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CH2=CXY : X , Y는 H를 포함한다.

terms.naver.com

용어해설

단위체

단위체 식품과학기술대사전합성수지의 원료화학물질이다. 특히 비닐중합형 수지인 PE, PP, PST, PVC 등의 경우에 사용된다.
일반화학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CH2=CXY : X , Y는 H를 포함한다. 또한 나일론, PET 등의 축합형 중합을 하는 수지의 원료인 polycarboxylic acid, ethylene glycol 등도 단위체라 부른다.외국어 표기 monomer(영어)참조어 가소화
단위체 Basic 고교생을 위한 화학 용어사전고분자 화합물을 이루고 있는 기본적인 화합물을 말한다. 단위체는 반드시 이중 결합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거나 쉽게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가 2개 이상 있어야 한다. 이때 단위체 분자가 2개 이상이 결합하는 반응을 중합이라고 한다.외국어 표기 單位體(한자)
단량체 환경공학용어사전중합체를 합성하는 경우 출발 물질이 되는 저분자량 화합물과 천연에 존재하는 고분자 화합물의 기본 단위로 이루어져 있는 화합물을 말한다.외국어 표기 monomer(영어), 單量體(한자)
단량체 전기용어사전중합체의 출발 물질 또는 중합체(重合体)를 구성하는 반복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폴리 스티롤의 단량체는 스티롤이다.외국어 표기 monomer(영어), 單量體(한자)
단위체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많은 단위체가 모여 중합체를 이루는데, 단일 단위분자로 구성된 화합물을 말함.외국어 표기 monomer(영어), 單位體(한자), たんいたい(일본어)동의어 단량체
모노머 전자용어사전고분자를 만드는 바탕이 되는 간단한 분자. 이것이 다수 연결한 것이 중합체(고분자)이다.외국어 표기 monomer(영어), 單量體(한자)
단위체 해양과학용어사전하나의 분자로 이루어진 물질.외국어 표기 monomer(영어), 單位體(한자)동의어 단량체, 모노머반의어 폴리머(polymer)
단량체 인테리어 용어사전중합체(重合體)의 기초적인 단위.외국어 표기 monomer(영어), 單量體(한자)
단량체 항공우주공학용어사전중합반응에서 중합체를 이루는 단위의 분자.외국어 표기 monomer(영어)

[네이버 지식백과] 단위체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 4. 10.)

 

 

사슬이 없는 모노머

 

단량체

62개 언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단위체에서 넘어옴)

단량체(單量體, 영어: monomer) 또는 단위체(單位體)는 다른 단량체 분자와 함께 반응하여 중합이라 불리는 과정을 통해 더 큰 중합체 사슬이나 3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분자이다.[1][2][3] 단량체(monomer)에서 "mono-"는 "하나(one)", "-mer"는 "부분(part)"를 의미한다.

IUPAC 정의

단량체 분자: 중합을 거쳐 고분자의 필수 구조에 구성 단위를 제공하는 분자[4]

분류[편집]

단량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량체는 형성하는 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두 가지 부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축합 중합에 참여하는 단량체는 부가 중합에 참여하는 단량체와는 다른 화학양론을 갖는다.[5]

 
두 단량체가 축합 중합하여 나일론과 물을 생성한다.

다른 분류 방식들은 다음과 같다.

한 종류의 단량체의 중합은 동종 중합체(homopolymer)를 형성한다. 많은 중합체들은 공중합체(copolymer)로 두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단량체로 형성된다. 축합 중합의 경우 공단량체(comonomer)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1:1이다. 예를 들어, 많은 양의 나일론을 생성하려면 동일한 양의 다이카복실산과 다이아민이 필요하다. 부가 중합의 경우 공단량체의 함량은 단지 몇 %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소량의 1-옥텐 단량체를 에틸렌과 공중합하여 특수한 폴리에틸렌을 생성한다.

합성 단량체[편집]

생체고분자[편집]

"단량체 단백질"이란 용어는 다중 단백질 복합체를 구성하는 단백질들 중 하나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6]

천연 단량체[편집]

주요 생체고분자에 사용되는 단량체들은 다음과 같다.

아미노산[편집]

단백질의 단량체는 아미노산이다. 단백질의 합성 리보솜에서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20가지의 아미노산 단량체가 단백질 합성에 사용된다. 따라서 단백질은 동종 중합체가 아니다.

뉴클레오타이드[편집]

핵산(DNA, RNA)의 단량체는 뉴클레오타이드이며, 뉴클레오타이드는 핵염기, 오탄당, 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뉴클레오타이드 단량체는 세포핵에서 발견된다. 4가지 종류의 뉴클레오타이드 단량체는 DNA의 전구물질이고, 다른 4가지 종류의 뉴클레오타이드 단량체는 RNA의 전구물질이다.

포도당 및 관련 당[편집]

다당류의 단량체는 단당류이다. 자연에서 가장 풍부한 단량체는 포도당이며, 셀룰로스, 녹말, 글리코젠과 같은 다당류 중합체에서 단량체인 포도당은 글리코사이드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7]

아이소프렌[편집]

아이소프렌은 중합되어 천연 고무를 형성하는 천연 단량체로, 대부분의 경우 시스-1,4-폴리아이소프렌이지만, 트랜스-1,4-폴리아이소프렌도 존재한다. 합성 고무는 종종 아이소프렌과 구조적으로 관련된 뷰타다이엔을 기반으로 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Young, R. J. (1987) Introduction to Polymers, Chapman & Hall ISBN 0-412-22170-5
  2.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et al. (2000) IUPAC Gold Book, Polymerization
  3.  Clayden, Jonathan; Greeves, Nick; Warren, Stuart; Wothers, Peter (2001). Organic Chemistry (1st ed.). Oxford University Press. pp. 1450–1466. ISBN 978-0-19-850346-0.
  4.  “Glossary of basic terms in polymer science (IUPAC Recommendations 1996)”. 《Pure and Applied Chemistry》 68 (12): 2287–2311. 1996. doi:10.1351/pac199668122287.
  5.  D. Margerison, G. C. East, J. E. Spice (1967). 《An Introduction to Polymer Chemistry》. Pergamon Press. ISBN 978-0-08-011891-8.
  6.  Bruce Alberts, Alexander Johnson, Julian Lewis,Otin Raff, Keith Roberts, and Peter Walter,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2008, Garland Science, ISBN 978-0-8153-4105-5.
  7.  Ebuengan, Kaye. “Biomolecules: Classification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carbohydrates”. 《Academia.edu》.

외부 링크[편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