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62123
디스플레이 제조 핵심소재 '광개시제' 국산화 성공 - 헬로디디
국내 산업체와 정부출연연구소가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로 꼽히는 '옥심계 광개시제' 국산화에 성공하고 상업화를 확대한다.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규호)과 삼양사(대표 문성환)는 디스플레이
www.hellodd.com
화학연-삼양사, 옥심계 광개시제 국산화...글로벌 시장 공략 나선다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직무대행 정순용)이 삼양사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인 옥심계 광개시제를 공동개발, 삼양사에 기술이전했다.
삼양사는 이 기술을 상업화해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BASF)가 독점해 온 글로벌 광개시제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상당한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이고 디스플레이 제조원가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화학연구원은 23일 오전 화학연 중회의실에서 삼양사와 옥심계 광개시제 기술이전 협약식을 맺고, 지난 6년 동안 공동연구한 기술을 상업화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광개시제는 빛을 받으면 수지가 화학반응을 일으켜 단단하게 굳도록 해주는 물질이다. 도료, 코팅액, 잉크, 페인트, 접착제 등 수지에 첨가해 사용한다. '옥심' 화학구조를 이용한 옥심계 광개시제는 빛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의 미세패턴 공정용 감광수지인 포토레니즈스의 핵심소재로 사용된다.
글로벌 광개시제 시장은 연간 8000억원. 이 가운데 옥심계 광개시제는 1000억원 규모다. 국내 시장이 500억원 규모로 세계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바스프가 2002년에 원천특허를 출원, 'OXE-01' 'OXE-02' 등으로 국내외 시장을 독점해 왔다.
화학연과 삼양사는 지난 6년 동안 공동연구로 새로운 광개시제 화합물 개발을 추진, 최근 'SPI-02' 'SPI-03' 'SPI-07'이라는 이름으로 상업화했다. 국내와 해외에 각각 4건과 5건의 특허 등록을 완료하고, 9건과 8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이번에 국산화에 성공한 옥심계 광개시제는 기존 제품과 비교해 감도 및 투과율이 우수하고 제조원가가 낮은 것이 장점이다. 자체 비교 실험 결과 투과도가 4%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삼양사는 이들 제품을 올해부터 국내외 포토레지스트 제조기업에 공급할 계획이다.
박순철 삼양사 대표는 “이번에 산학협력으로 개발한 광개시제를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 적극 진출할 계획”이라면서 “앞으로도 개방형 혁신을 통해 고기능성 케미컬 제품을 지속 개발, 미국과 일본 및 유럽 기업이 주도하는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디스플레이 제조 핵심소재 '광개시제' 국산화 성공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라인(으)로 기사보내기화학연-삼양사 "국내 독자 기술로 해외 시장 진출"
국내 산업체와 정부출연연구소가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로 꼽히는 '옥심계 광개시제' 국산화에 성공하고 상업화를 확대한다.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규호)과 삼양사(대표 문성환)는 디스플레이 제작에 필수적으로 쓰이는 옥심계 광개시제를 개발해 상업화를 확대한다고 17일 밝혔다.
광개시제는 도료, 코팅액, 잉크, 페인트, 접착제 등의 수지에 소량 첨가돼 빛을 받으면 수지가 화학 반응을 일으키도록 만들어주는 물질이다.
광개시제가 첨가된 수지에 빛을 쏘아주면 광개시제가 자외선을 받아 수지의 중합 반응을 시작하게 한다. 수지의 중합 반응은 분자량이란 작은 분자가 연속으로 결합해 분자량이 큰 분자 하나를 만든다. 수지가 중합반응을 일으키면 단단하게 굳으면서 원하는 형태로 구조를 형성한다.
광개시제는 생활용품과 다양한 산업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그중 옥심 화학구조를 이용한 옥심계 광개시제는 주로 디스플레이 제작에 활용된다. 지금까지 옥심계 광개시제로 바스프의 OX-01, OX-02 제품이 지난 10여 년 동안 세계 시장을 독점해 왔다.
화학연 전근 박사팀은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옥심계 광개시제를 삼양사와 공동 개발해 상업화에 성공했다. 공동 개발한 제품은 기존 제품에 비해 감도와 투과율이 우수하다. 또 제조원가가 낮은 화합물을 개발해 가격 경쟁력이 높다.
옥심계 광개시제는 2002년 바스프에서 원천특허를 출원해 특허 진입 장벽이 높았다. 하지만 화학연은 새로운 옥심계 광개시제를 개발해 국내 특허등록 4건, 국외 특허등록 3건, 국내 특허출원 8건, 해외 특허출원 6건의 물질특허 등록·출원을 완료했다.
이규호 원장은 "광개시제 기술은 한국의 주력산업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기술이지만 지금까지는 글로벌 해외기업이 독점해왔다"라며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독자 기술로 광개시제 제품을 상용화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가 경제를 이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창케미칼 포토레지스트 소재 공급사 소식 (0) | 2023.06.29 |
---|---|
에스케이지오센트릭(주) 홈페이지 정보 (0) | 2023.05.26 |
하이닉스 중국매출감소 vs 미국매출 증가 소식 (0) | 2023.05.25 |
반도체 용어 모음 (스터디자료) (0) | 2023.05.25 |
SK하이닉스, 청주에 반도체 공장 건설···5년간 15조원 투자 (0) | 2023.05.25 |